본문 바로가기

Block Chain/블록체인 구조와 기술10

[블록체인] 10장, 이용에 있어서의 과제 10.1 적용 영역의 확대와 블록체인 기반 기술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영역은 기존의 전자 화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부동산 등기나 온라인 콘텐츠와 같은 가격 정보의 이전 및 증권 분야에서 포스트 거래 업무의 효율화, 유가 증권 관리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비트코인의 탄생으로부터 오랜 기간동안 패브릭형을 전제로 한 블록체인 기반 기술이 많았다. 10.2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 풀어야 할 과제 권한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Hyperledger Fabric은 신뢰할 수 있는 멤버만을 네트워크에 참가시켜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페브릭형 블록체인 기반 기술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은 권한형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으로 이를 해결하거나 따로 확장.. 2021. 2. 24.
[블록체인] 9장, 전자 서명과 해시 9.1 전자 서명을 통한 위조 및 변조 방지 9.1.1 전자 서명 개요 전자 서명은 전자 데이터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전자 데이터를 보내는 사람이 서명을 생성하고 받는 사람은 그 서명을 검증해 타인에 의한 위조나 변조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순한 전자 데이터의 송신을 예로 서명 생성부터 검증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보내는 사람은 '비밀키'와 '공개키'로 구성된 키 쌍을 생성한다. 비밀키는 서명 생성 용도의 키, 공개키는 서명 검증 용도의 키다. 보내는 사람은 1에서 만든 공개키를 미리 받는 사람에게 전달한다. 보내는 사람은 1에서 만든 비밀키를 이용해 전자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로 만들어진 암호문을 '전자 서명'이라고 한다. 보내는 사람은 3에서 생성한 전자 서명을 전자 데이터에.. 2021. 2. 24.
[블록체인] 8장, 합의 알고리즘 8.1 합의 알고리즘이란? 합의 알고리즘이란 P2P 네트워크와 같이 정보 도달에 시간차가 있는 네트워크에서 참가자가 하나의 결과에 대한 합의를 얻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블록체인은 각 노드에서 만든 블록의 정당성을 검토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 공유하는 블록체인에 반영하기 위해 이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P2P 네트워크에서는 정보의 지연과 미도달이라는 사태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를 변조할 의도가 없다 해도 이중 송신에 따른 중복이나 잘못된 정보에 의한 오작동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기 어렵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합의 알고리즘의 목적이다. 8.2 계산량에 따른 증명(Proof of Work)의 문제점 PoW는 확률적으로 해답이 어려운 문제를 가장 빨리 해결한 사람에게 .. 2021. 2. 24.
[블록체인] 7장, P2P 네트워크 7.1 P2P 네트워크 개요 P2P 네트워크란 '대등한 관계의 컴퓨터 그룹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중심이 없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º 서버형 아키텍처에서는 각 컴퓨터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으며 소수의 서버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형태로 구축된다. P2P형 시스템에서는 각 컴퓨터(이후 노드라고 표현한다)가 서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즉 각 노드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도 한다. P2P형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노드가 서비스의 부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각 노드는 다른 노드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호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클라이언트 º 서버형 P2P형 장점 단점 장점 단점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 2021. 2. 16.
[블록체인] 6장, 블록체인 구조 6.1 비트코인 구조 6.1.1 비트코인의 목적 비트코인의 목적은 은행과 같은 중앙 기관을 경유하지 않고 P2P 네트워크에서 1대1 교환이 가능한 전자 화폐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 구조는 P2P 기술과 공개키 암호 및 해시 함수 등 암호 기술로 구현됐다. 비트코인은 특정 역할을 집중해 담당하는 서버 같은 존재는 없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참가자는 소유한 컴퓨터의 CPU 자원 등 하드웨어 자원을 서로 제공해 네트워크에서 마치 하나의 시스템의 일부인 거처럼 작동한다. 이런 시스템 방식을 '분산형 시스템'이라고 한다. 6.1.2 비트코인 구현 방법 전자화폐의 교환이란 결국 이전 소유자에게서 다른 소유자로 명의를 변경하는 거래다. 따라서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전 소유자의 본인 보증과 .. 2021. 2. 15.
[블록체인] 5장, 블록체인 업계 동향 5.1 금융 분야 블록체인 활용이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금융 분야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같은 일부 유명한 서비스를 제외한 대부분은 금융기관이나 단체가 다른 업종에 속한 기업과 협력해 실증 실험을 진행해 나가는 단계다. 아직은 실증 실험을 하는 단계지만 이런 금융 분야의 노력이 블록체인을 이용한 서비스 실용화 및 보급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5.1.1 해외은행 해외은행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 유럽, 아시아권,미국의 사례를 살펴보자. - Santander 은행 Santander 은행은 스페인어권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스페인의 거대 은행이다. 2016년 블록체인을 활용한 국제 결제 시범 프로그램을 개시해 실증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Banco Bilbao Vizcaya.. 2021. 2. 8.